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사회심리학의 이해 - 사회심리학의 개념, 사회적 관계, 사랑, 가족심리

by 심리학의 이해 2024. 3. 27.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회심리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회심리학이 무엇인지와 사회적인 관계, 사랑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고, 가족심리가 개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회심리학의 개념이해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며, 타인과 함께 살아가고, 타인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사회심리학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규명하고자 하는 학문입니다. 타인과 우리는 어떻게 서로를 알게 되고, 어떤 방법으로 상호작용하며, 사회적 환경과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에 대해 연구합니다.

사회심리학의 개념, 사회적 관계, 사랑, 가족심리
인간은 사회적인 존재입니다.

사회적 관계란

우리의 삶은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여러 모습으로 타인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작용을 합니다. 즉, 인간은 사회적인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에 구성원이 되어가는 과정을 사회화라고 부르며, 인간관계의 성숙도에 따라 여러 과정을 거치며 사회화를 이루어 갑니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부모와 관계를 맺게 되고, 아동기와 청소년기에는 친구, 또래 집단이 생기며, 성인기에는 직장동료와 배우자와 관계가 형성됩니다. 인간관계는 이러한 상황들 사이에서 상호작용하며 살아가는 것이며, 서로 인정하고 발전해 나가며 성숙해져 가는 것입니다. 타인과 좋은 관계를 맺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자아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존중입니다.

 

해리스는 자신과 타인에 대해 갖는 네 가지 기본입장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자기부정 - 타인긍정은 타인의 인정을 중요시합니다. 자기부정 - 타인부정은 위축되고, 의미없는 삶을 살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기긍정 - 타인부정의 입장을 갖는 것은, 유아기 때 많이 나타나며, 자기긍정 - 타인긍정의 관점은 가장 바람직하고, 생각과 행동에 자신감이 있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파웰이 말하는 심리학에서의 만남은 '있는 그대로의 내'가 '있는 그대로의 너'와 만나 상호작용을 하는 특별한 관계를 뜻합니다. 가면끼리 만나 무의미한 시간을 낭비하는 것은 만남이 아니라 스침이라고 말합니다. 참된 인간끼리 만나 의미 있는 대화와 소통을 하는 경험을 하며 자아실현을 하는 인간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3R(읽기, 쓰기, 셈하기) 로 표현되는 학교학습에 최근에는 1가지가 더해졌습니다.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4R(읽기, 쓰기, 셈하기, 인간관계) 이 학습에서 필수요소라고 보았습니다. 성공하는 인간관계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사고가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적극적인 사고는 근면성, 희망적인 사고방식, 자기극복, 감사, 자기 창조, 시간을 아껴 쓰는 사고방식으로부터 출발합니다.

 

창조적인 인간관계는 각자의 독자성을 존중하며, 서로를 풍성하게 해 줍니다. 즉, 상대를 존재하도록 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관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자기 통제감이 있어야 하며, 나아가 타인과의 소통을 통해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합니다.

 

사랑이란

사랑의 사전적 정의는 ‘위하는 마음, 아끼는 마음, 따듯한 인정을 베푸는 마음’ 이라 이야기합니다. 사랑은 인간의 삶에 있어 가장 중요한 감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랑은 대상과 문화에 따라 다양성이 존재하며, 문화권 내에서도 시간에 따라 표현하는 방법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루소(Rousseau, J.J.)는 ‘살아간다는 것은 사랑한다는 것이고, 사랑하지 않는다는 것은 살지 않는다는 것과 같다’라고 이야기하며, 인생에서의 사랑이라는 감정이 중요하며, 살아가는 의미와 행복이 있다고 역설하였습니다.

 

사랑의 구성요소는 친밀감(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는 상태), 열정(성적 매력을 유발하는 역할), 결심과 헌신(헌신하겠다는 마음과 지속적으로 사랑을 유지하려는 노력), 관심(상대방이 즐겁거나 괴로운 상황에도 함께 참여하는 것), 책임감(반응할 준비가 완료된 상태), 존경심(상대의 개성을 존중하며, 상대의 성장을 바라는 것), 지식(상대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개인적인 능력) 등이 있습니다.

 

가족심리

가족은 부부와 혈연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모임으로, 공동체 의식을 갖고 가계를 함께 꾸려가는 집단입니다. 가족은 인간의 기본성격 형성을 도우며,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정서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곳입니다.

 

가족의 환경과 부모 자녀 간의 상호작용은 개인의 심리에 영향을 줍니다. 가정의 성취에 대한 압력이란, 가정 내에서 개인의 행동을 어떻게 하는지, 어떤 방향으로 나가게 하는지에 작용합니다. 개인의 목적 달성을 촉진시키기도 하고, 방해하기도 합니다. 가정의 친애성이란, 가족 상호간에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며, 사랑과 믿음을 보여주는 것을 말합니다. 가정의 면학습관이나 면학분위기는 학습 습관이 형성되는데 많은 역할을 합니다. 습관은 요구의 결과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모가 자녀를 자극하면 자연스럽게 면학습관이 길러지게 됩니다.

 

가족 구성원 내에서도 권력이 존재합니다.. 경제권을 누가 가지고 있는지, 문화적인 지휘를 누가 하는지, 정서적인 지지관계의 중심에 누가 있는지에 따라 권력의 주체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의 의사가 결정과정에서 얼마나 반영이 되는지에 따라 민주적인 가정인지, 그렇지 못한 가정인지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족 내의 권력은 해당 구성원의 사회화 과정에서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부모는 개인의 창조부터 양육, 보호, 신체적 정신적 성장의 조력, 독립의 지지를 이루어 내는 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녀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좋은 정서를 제공하며,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고 부모로부터 독립하여 한 인간으로서 세상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시행착오를 겪는 과정을 함께 지지하며, 올바른 길로 갈 수 있도록 안내하며, 자녀의 가능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조력합니다. 형제자매 관계 역시 몇 명인지, 어떤 구성인지에 따라 인간관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