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발달심리학 - 피아제, 비고츠키, 콜버그의 발달이론 발달심리학의 대표적인 발달이론(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단계론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발달심리학은 인간의 발달에 대해 단계가 있으며, 각 단계에 대한 특징과 시기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론 피아제는 인지 구조를 쉐마라고 부르며, 쉐마는 행동 구조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인간의 발달은 쉐마가 확대되고 더 상세해지는 과정을 말합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쉐마에 따라 새로운 경험을 일반화하는 ' 동화 ' 와 그 경험에 맞게 쉐마를 변화시키는 ' 조절 ' 과정을 통해 쉐마를 발전시키며 성장합니다. 감각운동기 (생후 ~ 2세) 외부의 자극에 반응하는 매우 단순한 행동체계밖에 없으며, 반사, 모방을 통해 조금씩 발달합니다. 생후 1개월까지 입에 닿는 모든 물체는 자동.. 2024. 3. 20.
발달의 원리,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발달이론 발달의 원리 발달은 수정된 세포에서 시작하여 태아기, 출생, 성장, 노화를 거쳐 죽음에 이르는 신체적 성장, 운동능력 및 지능의 발달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입니다. 성장은 성숙도에 대한 양적인 변화와 부분적인 변화를 의미하지만, 발전은 성장과 성숙도를 포함한 환경의 전반적인 변화를 의미합니다. 발달의 원리는 6가지입니다. 연속성의 원리 인간의 인생은 계속적인 과정이고, 단계가 높아지는 과정은 점진적이고 연속적인 과정입니다. 순서성의 원리 발달의 순서가 있고, 이미 발달된 것으로부터 분화하며 발전합니다. 상관성의 원리 발달이란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과정입니다. 다시 말해 유전적 내적 특성과 환경적 외부 조건이 상호작용해 새로운 시스템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주기성의 원리 발달은 지속적이고 진보적이지만.. 2024. 3. 20.
반응형